건강하게 삽시다

노인성치매에 좋은 식단

신문기자 2008. 3. 27. 15:30

[ 치매환자를 위한 식단 ]

밥 : 진밥

국수 : 물국수, 칼국수, 우동

죽 : 호박죽, 흰죽, 고기죽, 애호박 조갯살죽

국 : 호박된장국, 무다시마국, 배추된장국, 순두부국, 꼬리곰탕, 두부새우탕

찌개 : 호박된장 찌개, 비지찌개, 버섯찌개, 생선찌개

채소:고구마순나물, 배추나물, 쑥갓나물, 숙주나물, 비름나물, 호박나물, 무나물, 무찜, 양송이 볶음, 감자조림, 감자볶음, 채소전, 부추굴전, 애호박찜

생선 및 어패류 : 생선구이, 북어찜, 북어보프라기, 병어찜, 황태찜, 참치조림

고기 : 닭가슴살 냉채, 닭살조림, 닭가슴살 무침, 불고기, 쇠고기 찹쌀 구이, 쇠고기 야채볶음, 쇠고기 장조림, 쇠고기 완자전

계란 : 계란찜, 계란반숙

두부 : 두부조림, 두부지짐, 연두부찜, 통두부맛찜

김치 : 배추물김치, 무물김치, 오이소박이

일품요리 : 달걀 쇠고기 볶음밥, 버섯 볶음밥, 콩나물국밥, 비빔밥(나물은 잘 익히고 소량으로 잘게 잘라서 줌), 만두, 스파게티


왜 좋은 지..이유

① 평소에 혈관을 튼튼하게 해주는 양질의 단백질 섭취가 꼭 필요하다. 하루에 적어도 고기 탁구공 크기 1개, 생선 1토막(특히 등푸른 생선), 계란 흰자 1개, 두부나 콩 등을 먹도록 해야 한다.
② 기름진 음식은 하루에 1번만 들도록 한다.
③ 저지방 우유나 요구르트를 하루에 1잔씩 들게 한다.
④ 또한 뇌세포의 주성분인 레시틴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서 호두, 잣, 해바라기씨, 콩, 깨 등을 적절히 드시도록 한다. 특히 해바라기씨는 간식으로 조금씩 먹도록 하면 좋다.
⑤ 녹황색 채소(당근, 시금치, 상추, 아욱 등)는 하루에 꼭 1번 이상 들도록 한다.


Q 환자의 식기는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은가?
A 환자의 혼동을 줄이기 위하여 무늬가 없고 색깔이 뚜렷한 식기를 쓰는 것이 좋다. 특히 접시에 과일이나 꽃무늬는 피하는 것이 좋다. 환자는 그것을 음식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Q 환자가 음식을 거부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환자가 음식을 거부할 때는 수저를 마음대로 쓸 수 없거나, 씹을 수 없거나, 삼킬 수 없는 등 여러 원인이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염두에 두고 시정해 준다.

Q 환자가 컵을 잡기 힘들어 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A 빨대를 사용하여 마시게 한다. 이때 플라스틱 빨대를 사서 원하는 만큼 잘라서 구부려 주어서 입에 잘 맞게 해주고 집게 혹은 클립으로 컵에 고정시켜 준다.

Q 컵은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은가?
A 컵은 아주 큰 손잡이가 달린 것으로 무게가 가벼워야 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것이 좋다. 플라스틱 컵이 좋으며 유리컵이나 종이컵은 쓰지 않아야 한다.

Q 환자가 숟가락이나 젓가락 쓰기를 힘들어한다. 이런 경우에 어떻게 해야 돼나?
A 숟가락의 손잡이에 고무줄을 잡거나 자전거 손잡이용 핸들을 사용해서 손잡이를 뭉툭하게 만들어 주면 쥐기가 약간 쉽다

Q 환자가 음식을 잘 선택하지 못할 때는 어떤 식사 메뉴가 좋은가?
A 반찬 가짓수를 줄이면서 1가지 요리에 다진 채소, 달걀, 고기, 생선 같은 것을 활용한 일품요리를 권한다.
예) 달걀 쇠고기 볶음밥, 하이라이스, 오므라이스, 콩나물 국밥 등

Q 우리 집 할머니는 기억력이 없어져서 식사를 하고서는 식사를 안 했다고 우기면서 또 식사를 달라고 한다. 이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A 이때 식사를 했다면서 아무 것도 주지 않으면 환자는 상처를 받게 되고 식구들과의 갈등도 더 커지게 된다. 이때는 알사탕 같은 것을 준비해서 드리든지 저지방

자료제공 : www.thindie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