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뉴스
나는 비만인가?
신문기자
2010. 1. 22. 23:59
나는 비만인가?
![]() 비만을 판정할 때 체지방을 측정하기는 어려우므로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신장과 체중을 많이 이용합니다. ●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건강과 상관관계가 높고 특히 성인의 체지방 지표로 유용합니다. 체중은 금식 후(8시간) 아침에 소변을 본 후 가벼운 옷차림으로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가임여성의 경우 월경주기로 인하여 1-2kg정도 체중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 BMI에 의한 비만 판정 기준 ![]() ● 상대체중법(Percent of Ideal Body Weight, PIBW) 표준 체중에 대한 현재 체중의 백분율을 나타내며, 120%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 ![]() 표준체중 계산법 ![]() 비만 판정 기준 ![]() ● 허리둘레 허리둘레는 내장형 복부비만과 관계가 있습니다. 허리둘레가 크면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당뇨병, 심장병 등 성인병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비만 판정 기준 ![]() ● 생체 전기저항 측정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지방의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체지방율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최근에 지방 측정에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 판정 방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