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출산, 육아일기

임산부 따뜻한 방은 적

신문기자 2010. 7. 12. 23:32

임신을 하면 신체적으로 여러 가지 변화를 겪게 된다.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하지정맥류’. 정맥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량이 늘어나면서 생기는 증상이다.

태아가 자라면서 자궁이 커지고 복부가 팽창하면서 다른 장기를 압박하는 사례가 많아 임산부에게는 하지정맥류가 생기기 쉽다. 또 태아를 몸 속에 두면 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돼 정맥 벽과 판막이 약해지고 쉽게 늘어난다.

출산 직후에는 살을 빼기 위해 운동을 심하게 해서는 안 된다. 격렬한 운동은 혈류량을 늘리기 때문이다.

체온이 높아지면 하지정맥류가 생기기 쉽다. 산후조리를 할 때 ‘뼈에 바람이 든다.’며 방 온도를 높이는 사례가 많은데, 이는 하지정맥류를 악화시킬 위험이 높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를 예방하려면 임신, 산후조리 기간에 가급적 온도가 높은 곳을 피하고, 다리 혈액 순환을 돕는 의료용 압박스타킹을 신는 것이 좋다.

연세sk병원 소동문 원장은 “임신 중 나타난 하지정맥류 증상은 대개 출산 후 3개월 내에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출산 후 3개월이 지나도 증상이 계속되면 치료를 받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