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웬 소화불량인가 했더니… ‘강추위에 위장도한파가 계속되면서 가끔씩 밥을 먹으면 체한 것 같이 소화가 잘 안되고 더부룩한 느낌을 받는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잘못 먹은 음식이 없지만 본격적인 추위가 몰려오면서 시작된 이 증상은 길게는 한 달씩 째 계속되기도 한다.
이처럼 겨울이 되면 추위에 따라 늘어난 실내생활 시간 때문에 평소에 없던 소화불량증을 겪는 사람들이 자주 눈에 띈다. 소화불량증은 주로 위장 점막의 손상, 위액 등의 소화효소 분비의 문제 등으로 발생하지만 위장 운동에 이상이 있을 때도 생길 수 있다. 위장 기능은 낮은 기온에 의해서도 떨어질 수 있으며, 신체 활동량이 너무 부족해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추위가 소화불량 부른다
기온이 낮아지면 이에 따라 우리 몸의 신진대사도 떨어지면서 몸의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하루 종일 과도한 추위에 노출됐다면 일시적으로 위장 기능이 저하돼 소화불량, 식욕감퇴, 위장장애,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지나치게 낮은 온도가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처 이 같은 증상을 불러오는 것이다. 차가운 공기에 배가 장시간 노출되면 열을 빼앗겨 소화기관으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소화 기능에 이상이 생긴다는 의견도 있다.
소화기관이 건강한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의 추위에 노출되더라도 몸이 적응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면 오랫동안 추위에 노출된 후 음식을 먹으면 위장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몸을 충분히 녹인 후 천천히 음식을 먹고, 되도록 소화가 잘되는 음식으로 먹어야 한다.
실내외의 급격한 온도차에 따른 신체의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소화기능에 일시적으로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뇌 중심부에 있는 시상하부에는 온도조절중추가 있어, 외부의 기온에 관계없이 그에 맞춰 혈관을 확장 및 수축시킴으로써 신체의 온도를 36.5도로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인체의 조절기능은 실내외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해 부조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음식을 특별히 잘못 먹지도 않았는데 이유없이 소화가 되지 않고 배가 아프며 설사 증상이 있다면 급격한 온도차이를 의심해볼 수 있다.
또 추위 그 자체가 스트레스로 작용해 소화를 방해하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위장으로의 혈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위의 활동성이 떨어져 소화효소의 분비가 줄어들게 된다. 겨울철 외출시 최대한 따뜻하게 입어 추위로 인해 느끼는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소화기질환 전문 비에비스 나무병원 민영일 병원장은 "일반적으로 위나 대장 같은 장기의 운동을 조절하는 우리 몸의 자율신경은 온도 변화에 특히 민감하다"며 "겨울에 유독 소화불량 증세가 잦다면 추위와 급격한 온도차를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겨울철 줄어든 활동량도 위장장애 원인
겨울철 추위로 인해 외출을 삼가면서 활동량이 줄어들어 위장이 제 기능을 못해 장애를 겪는 경우가 있다. 위장 운동은 음식의 종류나 식사 시간 등과 더불어 사람의 활동량 등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식사 뒤에 앉아만 있거나 누워만 있으면 위장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식사 직후 과도한 활동도 금물이다. 식사 후에 과도한 운동을 하면 팔다리의 근육에 전달되는 혈액 양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위장으로의 혈액 순환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민영일 원장은 "소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식사 뒤 20~30분 정도 쉬고 난 뒤 산책 등의 가벼운 활동을 하는 게 이롭다"고 말했다 꽁꽁’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노후, 건강한 치아에서 시작된다 (0) | 2010.02.09 |
---|---|
질병 예방을 위한 식생활 (0) | 2010.01.23 |
식습관 나쁘면 ''우울증·불안증'' 온다 (0) | 2010.01.14 |
모든 전염병 예방의 기본은 손 닦기 (0) | 2010.01.14 |
왜곡방송 광우병 보도한 PD수첩 제작진에 중징계 왜곡 허위보도에 대한 경종 울려 (0) | 201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