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미술관, 김주연 작가의 ‘Metamorphosis VII’展
대담미술관은 자연과 사람의 관계를 순백한 예술의 눈으로 다시 바라보고 소통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생태예술가 김주연 작가의 ‘Metamorphosis VII’전을 개최했다.
흙 위에서 발아되는 씨앗의 과정을 작품으로 옮겨와 푸른 새싹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보여주는 이번 전시는 오는 5월 31일까지 개최한다.
‘Metamorphosis’는 김주연 작가의 독일유학 시절, 관심 갖기 시작한 불교용어 ‘이숙’의 개념을 구체화시킨 것으로 끊임없이 다른 모습으로 성장하는 것을 뜻한다.
자연의 존재, 생명성에 대한 끝없는 관심을 조형성으로 표현한 이번 전시는 나무팔렛트(재적재)를 층층히 쌓아 만든 탑 중간에 토양을 대신해 부직포를 넣고 그곳에 씨앗을 뿌려 발아시킨 작품 'Metamorphosis VII'을 선보인다.
작품에 심어진 씨앗들은 발아 후 4~5일이면 쑥쑥 자라나지만 땅에 깊이 뿌리박지 못한 까닭에 결국 시들어 소멸한다.
작품은 단순한 자연의 재현이 아니라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보여주고 인간과 자연을 새롭게 관계 짓도록 유도한다. 일상적 자연을 벗어난 작품 속 새싹들은 관람객에게 가까이 다가오게 하고 다시 눈여겨보게 만든다.
작가는 ‘Metamorphosis VII' 작품을 통해 사라지고 잊혀져가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소통의 주문을 걸고 있는 것이다.
김주연 작가는 전남대학교 예술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베를린 국립예술대학교 순수조형예술대학을 거쳐 동 대학에서 마이스터슐러린(1993)을 취득하였다.
2003년 영은미술관, 2005년 포스코미술관, 2008년 갤러리 쿤스트독, 2009년 무등현대미술관, 2010년 광주 롯데 갤러리 등 국내외에서 수차례 개인전을 가졌다. 그룹전으로는 ‘오래된 미래’(2008,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언니가 돌아왔다’ (2008, 경기도미술관, 안산), ‘환태평양의 눈:숨비소리’(2009,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오월의 꽃’(2010,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마딕레포트’(2012, 아르코미술관, 서울), 등에 참여 하였다.
대담미술관 관계자는 “함께 즐겨요. 에코 라이프! 의 설립취지에 맞춰 관광객 및 지역민들에게 생태미술을 선보이고 이를 통해 자연과 예술 그리고 사람 모두가 만족하고 편안하게 누릴 수 있는 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담미술관은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고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가 주최하는 ‘뮤지엄 페스티벌’에 참여한다.
뮤지엄 페스티벌은 전국 61개의 사립미술관이 각각의 특색을 담은 전시를 개최하며 이와 연계된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오는 5월 30일까지 열린다. 전국 61개의 사립미술관이 각각의 특색을 담은 전시를 개최하며 이와 연계된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대담미술관은 자연을 담은 생태미술전 'Metamorphosis VII‘전과 함께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온 가족이 함께 그리고 놀고 찍을 수 있는 타일 체험프로그램 상시 운영한다.
한편 대담미술관은 전남 담양에 설립된 전라남도 등록 제14호 미술관이다.
자연, 사람, 문화, 예술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예술적 감동
과 문화적 공감이 교감하는 담양을 대표하는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 주민에게 국제 수준의 작품 관람 기회를 부여하여 문화를 향유하는 혜택을 누리게 하고 아울러 미술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작가들의 작품전시를 통해 지역의 문화 실조현상을 탈피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발표 기회가 적은 지역작가들에게도 꾸준히 작품 발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국제현대미술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국제적인 전시를 기획하고 국
제교류에 힘쓰고자 한다.
김 주 연
1993 베를린 국립예술대학교 순수조형예술대학 마이스터슐러린 취득
1986-1992 베를린 국립예술대학교 순수조형예술대학 졸업
1982-1986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회화전공 졸업
개인전
2010 이숙(異熟)Ⅷ 광주롯데갤러리, 광주
2009 MetamorphosisⅢ 무등현대미술관, 광주
2008 Metamorphosis 갤러리 쿤스트독, 서울
2005 일상의 성소(聖所) 포스코미술관, 서울
2002 이숙(異熟)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1997 re-turn 루츠 피비히 갤러리, 베를린
1994 시대착오적인 산책 스틸 운트 부르흐 갤러리, 베를린
1993 찾기 물락스트라세 23 갤러리, 베를린
주요단체전
2013 숲, 숨 닻미술관, 경기도 광주
2012 광주비엔날레 <Roundtable> 무각사, 광주
Nomadic Report 2012:Antarctica <Salida>, 아르코미술관, 서울
봄의 교향악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광주
Nature 모란미술관, 경기도 남양주
2011 거시기하시죠? 쿤스트 할레, 광주
Synapse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광주
Help Earth 남서울대학교 아트센터 갤러리 이앙, 서울
2010 Greening Green 2010 아르코미술관, 서울
오월의 꽃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자연과 평화> 연미산 자연미술공원, 공주
태화강 국제 설치미술제 <길 위에 길> 태화강 생태공원, 울산
춘삼월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광주
2009 Asia Panic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경계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환 태평양의 눈:숨비소리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가까이 그리고 멀리>, 아트플랫폼, 인천
생성과 순환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광주
2008 오래된 미래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관, 서울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안산
광주여성미술제:성촌마을에 달이 뜨다 무등현대미술관, 광주
2007 상상충전 경기도미술관, 안성
'전시관련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갤러리 로메로 브리토 ‘LOVE FEVER’ 특별展 (0) | 2013.05.15 |
---|---|
롯데갤러리, 김 영 태 작가 초대전 ‘시간의 그림자’ 展 성료 (0) | 2013.05.12 |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조선대학교 박일재 교수 초대전 (0) | 2013.05.09 |
롯데갤러리 광주점 <나의 친구, 나의 영웅 - 아트토이 컬렉션>展 (0) | 2013.02.10 |
체코를 대표하는 세계적사진 예술사진가 거장 얀 샤우덱 사진展 (0) | 2013.01.22 |